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취득 방법 알아보기_2024 (+교육과정,시험과목,Q&A)

250x25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취득 방법 및 2024 (+교육과정,시험과목,Q&A)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2008년, 요양보호사 제도가 시행되면서 초기에는 누구나 일정기간의 교육을 이수하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으나,노인복지법이 개정되며 2010년부터 교육과정 이수 후,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또한 2023년부터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이 개편되어 경우에 따라 더욱 쉽게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게 되어서 요양보호사 자격증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요양보호사란,

현재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요양보호사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요양보호사는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의 일상 가사 및 신체활동을 돕는 일을 하는 직업으로 식사부터 복약, 배설, 운동, 상담 등 다양한 케어활동을 병행합니다. 요양보호사 응시자격 자가진단

 

2.요양보호사 월급

 

요양보호사는 통상적으로 하루 8시간, 주 40시간 근무입니다. 2022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월급 1,914,440원입니다.주휴수당과 연차수당까지 합치면 시급 11,519원으로 요양보호사 월급은 신규 입사 기준으로 190~200정도 수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3년부터 가산수당이 폐지되면서 방문요양보호사의 급여가 줄어들게 되었습니다.가산수당은 5등급 치매환자를 방문 케어하는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급여입니다.(1일 5,760원) 하루로만 보면 적은 돈이지만 20일로 봤을때 11만원이 넘는 돈으로 가산수당 폐지는 매우 아쉬운 부분입니다. 최저시급 모의계산기

 

3.요양보호사 전망

요양보호사의 수요는 나날이 늘고 있는데 고령화시대가 가속화되면서 현재 요양보호사 인력난이라고 합니다. 특히 보건복지부령에 따라 일정수의 요양보호사를 두어야 하는 규정이 있어,매우 안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4.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난이도

 

요양보호사 난이도는 아주 쉬운 편에 속합니다.80-90% 합격률을 자랑하며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은 교육시간을 획득하는 것이 가장 큰 임무이며, 시험공부에 드는 시간은 적다고 합니다. 요양보호사 역대합격률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2024

1. 요양보호사 교육 이수,
2.요양보호사 시험 자격 취득 및 합격
3.요양보호사 취득 성공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교육시간을 채우고 시험까지 합격해야 합니다.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시험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교육과정은 신규, 경력자, 국가자격 면허 소지자에 따라 이수시간이 다릅니다.

 

■요양보호사 교육과정&교육시간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취득 방법 알아보기_2024 (+교육과정,시험과목,Q&A)

  이론 실기 실습 총 소요시간
신규
(경력X, 국가자격X)
80 80 80 240
경력자 기타 일반 80 40 40 160
요양/재가 80 40 20 140
요양+재가 80 40 0 120
국가자격
면허 소지자
간호사 26 6 8 40
사회복지사 32 10 8 50
간호조무사 31 11 8 50

 

이론 및 실기/실습 별 자세한 교육내용은 한국요양보호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바로가기

교육이 끝나면 요양보호사 시험 자격이 주어집니다. 2022년까지 연 4회 치르던 시험방식이 2023년도부터 주당 5회로 변경되었으며 기존 지필시험에서 CBT 컴퓨터 시험으로 바뀌었습니다. (CBT : 컴퓨터 기반 시험방식) 요양보호사 시험신청 바로가기

 

2024년 요양보호사 시험일정

 

나오는데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요양보호사 시험과목

 

요양보호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 두개로 나뉩니다. 필기시험 시험과목은 요양보호론입니다.

 

요양보호개론, 요양보호관련 기초지식, 기본요양보호각론 및 특수요양보호각론으로 난이도가 쉬워서 조금만 공부하시면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이상으로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및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내용들을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